본문 바로가기

Study/Tool

타사(가비아)등록 도메인으로 카페24웹메일 설정시 몇가지 유의사항

내 도메인으로 카페24 웹메일 사용하기

가비아에 등록된 도메인으로 카페24 웹메일을 신청해서 사용하려니 나 같은 일반인 초보자에게는 생각보다 설정과정이 간단하지 않았다. 다음에는 다시 헤매지 않기 위해 블로그에 간단히 정리해 둔다. 

도메인과 웹메일 신청하기

우선 타사(가비아)에 도메인을 등록하는 것과 카페24에 웹메일을 신청하는 것은 이미 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그 이후 과정만 작성하겠다. 참고로 가비아 도메인 신청은 https://domain.gabia.com/ 에서 신청하고, 카페24 웹메일은  https://hosting.cafe24.com/?controller=new_product_page&page=webmail 에서 신청하면 된다. 나는 절약형으로 신청했다. 

 

카페24호스팅 관리자 화면

카페24호스팅에서 웹메일을 신청한 후  나의 서비스 관리 > 호스팅 관리 화면 으로 들어가면 서비스 사용현황을 볼 수 있다. 

사용 중이 서비스가 2개 이상이라면 상단의 아이디목록에서 웹메일호스팅을 선택하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볼 수 있다. 

하단의 이메일 관리자 바로가기 버튼을 누르면 웹메일관리자 로그인화면이 나온다.

 

 

카페24 웹메일 관리자 로그인 화면

관리자 모드로 로그인하면 기본관리> 이메일 계정추가 메뉴에서 이메일을 추가할 수 있다. 

이렇게만 해도 기본으로 제공되는 메일id@관리자id.cafe24.com으로 웹메일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내가 가지고 있는 도메인으로 메일을 사용하려면 도메인을 메일에 연결시켜줘야 한다. 

 

카페24 웹메일 관리자에서 내 도메인 연결 설정하기

 

카페24 웹메일 관리자 > 메일도메인 설정 화면

도메인 연결은 웹메일 관리자에서 기본관리> 메일 도메인 설정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다. 보유도메인 추가란에 내 도메인을 입력하고, 대표도메인에 체크를 한 뒤 연결버튼을 클릭하면 인증키를 도메인 소유자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나의 이메일주소로 보내준다. 보내준 인증키를 인증키 입력란에 입력하면 도메인 연결이 된다.  이때 유의할 점은 가비아에 도메인 소유자 정보 숨김 서비스나 도메인 안전잠금 서비스 등에 가입되어 있다면 모두 해제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걸 해제하지 않은 채 연결을 누르면 인증키 전송받을 메일주소가 이상한 문자로 된, 나와는 전혀 상관없는 메일주소로 전송이 되고 인증키를 받을 수 없다. 총 3번의 연결시도 기회가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해야 한다.^^;

 

도메인에 DNS 설정하기

이렇게 카페24 웹메일에서 내 도메인 연결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이번에는 도메인이 등록되어 있는 가비아의 도메인 관리자에서도 내 도메인과 카페24웹메일이 연결될 수 있도록 DNS 설정을 해야 한다. 

가비아에 로그인해서 My가비아> DNS관리툴 화면으로 들어가서 도메인 DNS 정보 설정버튼을 클릭해서 설정화면으로 들어간다. 

 

 

가비아의 DNS관리화면

레코드 수정버튼을 클릭해서 레코드를 수정하면 된다. 아래에 A, MX, TXT, 3개가 웹메일 설정이다. 

위의 A 3개는 홈페이지 관련 설정이어서 웹메일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무시하도록 한다.

 

 

카페24 웹메일 관리자 > 메일도메인 설정 화면

입력값은 카페24 웹메일 관리자> 메일 도메인 설정 화면 하단에 있는 도메인 연결 안내에 안내된 대로 입력하면 된다.

홈페이지 호스팅을 카페24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웹메일만 카페24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네임서버는 카페24로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카페24 웹메일 관리자 > 메일도메인 설정 화면>도메인 연결버튼 클릭시 안내팝업

조금전 도메인 연결 시 팝업으로 한 번 더 DNS입력값을 알려주었을 것이다. MX는 거기 있는 값을 입력하면 된다. 우선순위란은 안내된 대로 10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호스트란에는 무엇을 입력할지 나와있지 않은데 구글링에 의하면 @를 입력하면 된다고 한다. @는 내 도메인 주소 그 자체를 의미한다고 한다. 혹은 호스트란을 비워두어도 된다고 한다. A의 호스트에는 webmail이라고 입력해 주었다. 

 

이렇게 입력을 마치면 도메인 DNS 설정도 완료되어 이제 내 도메인으로 된 이메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NS설정값 입력시 유의 사항

 

그런데 여기서 몇가지 유의할 사항이 있다. 먼저 첫번째는 가비아 DNS설정에서 레코드를 입력화면에서 MX의 값을 입력할 때는 끝에 마침표(.)를 입력해주어야 한다. 마침표를 입력하지 않으면 설정완료가 안되고 마침표로 끝나야 한다고 안내문구가 뜨기 때문에 이건 잘못 입력할 일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두번째로 TXT의 값입력시에는 끝에 마침표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입력하면 안된다. 

 

 

가비아 DNS설정 화면

화면과 같이 MX에는 마침표(.)가 있고 TXT에는 마침표(.)가 없는 것이 맞다.

 

그런데 나는 이전에 TXT의 값도 마침표로 끝나야 할 것 같아서 ~all 뒤에 마침표(.)를 찍어두었었다. 

그렇게 입력을 해 두어도 아무런 문제 없이 한동안 메일을 잘 사용할 수가 있었다. 네이버메일, 하이웍스메일 등 대부분의 메일주소로 메일 보내기도 잘 되고, 받기도 잘 되었다.

 

 

Gmail로 메일을 보내면 반송되는 메일들

 

하지만 지메일(Gmail)에 메일을 보내면 메일이 거부되어서 반송되었다. 

 

 

반송된 메일의 반송 사유

 

반송 사유를 보니 SPF인증을 통과하지 못했다고 한다. 몇 번의 검색을 통해 SPF설정이 문제임을 알게 되었다. SPF가 뭔지는 모르겠지만 TXT 설정이 그 SPF설정이고, 난 그걸 하라는 대로 다 했는데 무엇이 문제라는 것인가? 싶을 때 자세히 보니 TXT의 값 입력란에 ~all 뒤에 내가 점(.)하나 더 찍어둔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점(.)을 지워주었더니 Gmail로 메일을 보내도 반송되지 않고 메일이 잘 보내졌다. (나만 이랬던 것인가??)

 

어쨌든 여기서 나는 교훈을 얻었다. DNS 입력할 때 입력 하라는 대로 잘 입력하자.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MX의 값입력란에는 뒤에 점(.)을 찍어주고, TXT의 값입력란(SPF 설정)에는 끝에 점(.)을 찍으면 안 되고 입력하라는 것만 입력해야 한다

왜 그런 건지는 난 서버전문가도 아니기때문에 굳이 알 필요가 없고, 아무도 설명해주지도 않고, 설명해 줘도 이해하지 못할 것 같다. 

 

히지만 혹시 나처럼 Gmail만 안 되는 분이 있다면 DNS설정에서 TXT입력란을 살펴보기를 바란다.